인터뷰 영상 구도, 레퍼런스 아이디어 18개
- 씨네인터뷰
- 4월 9일
- 3분 분량
최종 수정일: 4월 10일

<인터뷰 영상 구도, 레퍼런스 아이디어 18>
이런 분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인터뷰 영상 촬영 전 구도를 고민하고 있는, 감독
효과적인 메시지 전달을 고민하는, 기획자
이런 내용을 알 수 있어요.
구도에 필요한 요소 - 레벨, 샷, 화각, 배경
인터뷰 영상 구도 레퍼런스 아이디어
의사소통은 언어로서 직접 의미를 전달하고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기도 하지만, 간접적으로 느낄 수 있는 비언어적 소통도 있는데요. 손짓과 몸짓 표정 등을 예로 들 수 있죠.
영상 역시 일종의 의사소통입니다. 그리고 영상은 직접 입으로, 내레이션으로, 자막으로 설명하는 부분도 있겠지만, 카메라의 앵글로, 구도로, 조명의 분위기로, 배경으로 설명할 수 있는 것들도 있지요.
이 모든 것을 총체적으로 '구도'라고 표현하겠습니다.
앞서 말씀드린 의사소통에서의 비언어적 소통의 예시처럼 영상에서도 언어 외적인 요소가 굉장히 중요한 부분을 차지합니다.
위 사진의 예시처럼 배경을 보면 자연스럽게 "아 이 사람은 운동과 관련 있는 사람이구나, 그런 이야기를 하겠구나"라는 생각을 하게 만듭니다.
그러므로 구도를 선정하는 것은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더욱 효과적으로 이해하도록 해주는 장치입니다.
인터뷰 영상 구도를 이루는 요소_1. 레벨-샷-화각
그러면 구도를 이루는 요소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레벨, 샷, 화각 - 인터뷰이를 얼마나 보여주고, 배경을 얼마나 보여줄 것인가?배경 - 인터뷰이를 어떻게 주목시키고, 메시지와 연결성이 있는가?
인터뷰 영상의 구도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첫 번째는 레벨-샷-화각인데요. 이 세 가지는 적절히 조합되어서 얼만큼의 배경을 보여주고 인터뷰이를 얼만큼의 크기로 보여줄지를 정하는 요소입니다.
아까의 사진을 예로 들면 이 샷은 아이 레벨-웨이스트 샷-50mm의 샷입니다.
레벨은 카메라의 높이를 말하는데요. 크게 로우 레벨, 아이 레벨, 하이레벨이 있습니다. 낮을수록 상대적 높이가 낮아져서 인터뷰이가 더 커 보이고, 위엄 있고, 카리스마가 있게 보이게 되죠.


샷은 사람의 크기를 어느 정도의 크기로 담을지를 선택하는 겁니다. 풀샷으로 갈수록 객관적인 샷, 배경, 소품과의 관계를 담을 수 있고 클로즈업 샷으로 갈수록 인터뷰이의 감정 상태에 집중하고, 시청자와의 거리가 더욱 가까운 듯한 느낌을 불러옵니다.



어떠신가요? 인터뷰이와 더 가까워지는 느낌이 드시나요?
마지막 화각은 배경의 크기를 어느 정도의 크기로 담을 건지를 선택하는 겁니다.


같은 레벨과 샷이라도 화각을 어떻게 잡느냐에 따라서 배경을 얼마나 담을지가 정해집니다. 그리고 인물의 왜곡도 달라지죠. 일반적으로 50mm 이상부터는 인물의 왜곡이 상당히 줄어들기 때문에 공간만 넓다면 50mm 이상으로 가는 것이 좋습니다.

어떠신가요? 이제 레벨 - 샷 - 화각이 이해 가시나요?
인터뷰 영상 구도를 이루는 요소_2. 배경
다음으로는 배경입니다. 앞서 설명드렸듯이 배경은 인터뷰이의 메시지를 설명해 주는 역할과 더불어 리드 라인을 통해서 인물에게 자연스럽게 집중이 될 수 있도록 해두는데요.

위 샷은 편안한 가정집의 배경인데요. 일상적인 이야기, 솔직한 이야기 같은 다큐 환경이 예상됩니다. 그리고 벽면과 가구들이 자연스럽게 시선의 방향을 인물 쪽으로 집중시키도록 배치가 되어있습니다.

비캠 역시 벽체와 소파의 리드 라인을 잘 살려주었습니다.

위 샷은 창고 같은 배경에 오토바이와 공장 제품으로는 보이지 않는 물건? 등을 통해 이 물건을 만드는 사람이라고 짐작할 수 있고 오브젝트와 가구?를 이용해서 리드 라인을 신경 써줬습니다.

위 샷 역시 인물에 포커스가 될 수 있게 구도를 잘 잡아 줬네요!

위 샷도 마찬가지로 구조를 이용하여서 리드 라인을 잘 형성해 줬습니다.

위 샷도 마찬가지이죠!
이제 배경 구도를 어떻게 잡아야 하는지 이해가셨나요?
인터뷰 영상 구도 레퍼런스











































Comments